민예총 문예아카데미
2007. 6. 20 개강
여름
http://myacademy.org 02- 739~6854~6
맑스 이후 맑스주의 미학의 모색
담당교수 | 신혜경 서울대 강사 외
개강일시 + 6. 28~ 매주 목요일 저녁 7:00 _ 8강 _ 8만원
'현실 사회주의' 체제가 자취도 없이 사라져 버린 지금, 우리에게 맑스주의 미학이란 과연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것인가? 오늘날 맑스주의의 진정한 핵심을 지켜내고 새로운 혁신을 통해 그 현재성을 되찾고자 하는 맑스주의 미학의 모색은 여전히 그 생명력을 잃지 않은 채 지속되고 있다. 본 강의는 맑스 이후 맑스주의 미학의 새로운 전망과 모색을 독일, 프랑스, 영미권 맑스주의 미학의 대표적 논의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맑스주의 미학의 고뇌에 찬 자기반성과 모색들을 반추해보도록 할 것이다.
1 맑스주의 미학의 제 문제- 신혜경 서울대 강사(6/28)
2 맑스 이후 맑스주의 미학의 모색 대중문화와 상품미학 - 신혜경 (7/5)
3 독일 맑스주의 미학의 모색1 발터 벤야민; 예술의 정치화인가 정치의 예술화인가- 임성훈 서울대 강사(7/12)
4 독일 맑스주의 미학의 모색2 한나 아렌트; 정치적 판단과 미적 판단 - 임성훈 (7/19)
5 영미권 맑스주의 미학의 모색1 프레드릭 제임슨; 무의식적 정치적 서사로서의 예술- 정성철 서울대 강사(7/26)
6 영미권 맑스주의 미학의 모색2 자넷 월프에서 신역사주의까지; 사회구성적 행위로서의 예술- 정성철 (8/2)
7 프랑스 맑스주의 미학의 모색1 질 들뢰즈; 무신론적 사유로서의 예술 - 박기순 서울대 강사(8/9)
8 프랑스 맑스주의 미학의 모색2 알랭 바디유; 예술과 소수자 정치 - 박기순 (8/16)
온라인 수강신청
http://myacademy.org
전화 문의 및 수강 신청 02-739-6854~6
무통장 입금 (반드시 수강신청 후 입금해주십시오)
국민은행 006-01-0787-444 사)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민미협 아카이빙 > 2000년~2009년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론회] 제4차, 창조적 공유지와 문화공공성 (0) | 2020.11.23 |
---|---|
"거리의기억전"전시장풍경 (0) | 2020.11.23 |
부산역에 6·10 조형물 (0) | 2020.11.23 |
2007춘천민족미술인협회전 (0) | 2020.11.23 |
서울아트가이드 6월호 (0) | 2020.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