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미협 아카이빙/2000년~2009년대 자료

2006 노동미술굿

by (사)한국민족미술인협회 2020. 11. 21.



2006 노동미술굿
2006, 네 가지 이야기

비정규노동, 이주노동, 한미FTA, 평택미군기지확장



- 제 목 : 2006 노동미술굿 -2006, 네 가지 이야기
- 주 최 : 인천광역시남구학산문화원
- 주 관 : 2006 노동미술굿 기획단


■ 전시

일시 : 2006년 9월 22일(금) ~28일(목)
open : 2006년 9월 22일(금) 저녁 5시30분
장소 :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대전시실
내용 : 2006노동미술굿 작가전시, 노동미술사례전시, 활동단체부스전시


참여작가 : 고창수 그림공장 김성건 김성수 김재석 김천일 김하연 노순택 류성환 류우종 박경효 박경훈 박영균 박은태 박태규 배인석 성효숙 손문상 신창운 오천택 오현숙 이명복 이윤기 이윤엽 이인철 이종구 임영선 임창웅 장진영 정선휘 정윤희 정평한 조정태 진성숙 최호철 등


■ 심포지움

제목 : 미술과 굿은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일시 : 2006년 9월 23일(토) 오후3시
장소 : 인천문화재단 나눔누리 홀
발 표 ① : 굿, 굿판, 굿 운동에 대하여
발 표 자 : 박흥주(굿연구소 소장)
발 표 ② : 전통, 서구미술의 소통과 굿의 접목 가능성
발 표 자 : 김봉준(화가)
발 표 ③: ‘인천 노동미술굿’의 지평과 전망
발 표 자 : 성효숙(화가)
종합토론자 : 신용철(미학), 박응주(예술학), 김영택(노동문화활동가).


■ 사이트 : www.nodongood.net (준비중)





노동에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사안들, 2006


    신자유주의의 영향으로 비정규 노동자나 이주노동자 등의 불안정 노동자들이 대량으로 양산되고 있다. 고용이 불안정할수록, 노동자가 자신의 노동을 선택할 여지가 없어져 갈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노동은 단지 생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만이 아니다. 노동을 스스로 선택할 여지가 없는 상황에서도 노동자는 생존을 위해 노동을 할 것이다. 다만 인간적 삶을 위한 물적 충족이 간신히 될 뿐, 기존의 정서적-정신적 토대가 조금씩 허물어져 갈 뿐이다. 노동은 삶과 자신에 대한 긍정이며 생활의 물적, 정서적-정신적 근간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노동을 중심으로 생활의 형태인 문화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문화는 다시 노동과 그 삶에 영향을 미친다. 노동미술은 지난 시기, 노동자들과 함께 ‘인간의 권리’를 위하여 투쟁해왔다. 앞으로 노동미술은 노동자들과 문화적 소통을 지속하고, 예술적 표현을 통해 노동자의 주체적 삶에 대한 지향을 북돋아 갈 것이다.

    <2006 노동미술굿>의 전시와 심포지움, 워크샵은 그 과정으로써, 현대 예술이 현장성의 개념을 확장하고 있는 가운데, 노동자의 현실과 노동이라는 주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에 접근하는 시각 예술을 펼쳐놓을 것이다. 행사의 전 과정에 참여하는 예술가와, 워크샵과 개별 프로젝트에서 공동작업을 진행할 노동자들, 그리고 관객들에게 이번 전시가 자신의 삶을 더욱 능동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단초가 되었으면 한다.


비정규노동차별철폐, 이주노동차별철폐, 한미FTA반대, 평택미군기지확장반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