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미협 아카이빙/2000년~2009년대 자료

“미술대전 전면 개선 없인 공공기금 지원 이유 없다”

by (사)한국민족미술인협회 2020. 7. 25.

[한겨레] 평가위 보고서 날선 비판“운영·심사등 문제투성이”
한겨레   2004-05-23 20:09:06  

‘미술협회(미협)가 주최해온 대한민국 미술대전은 공정성, 파급효과 등 전반적인 면에서 공공기금을 지원할 필요성이 소멸된 것으로 판단된다.’ ‘현 공모전 형식과 미협구조로는 도저히 긍정적인 작가발굴을 하기 어렵다.’

이 날선 비판들은 문예진흥원이 위촉한 미술대전평가위원회가 지난해 12월 제출한 심층평가보고서의 결론 중 일부다. 최근 〈한겨레〉가 입수한 이 보고서는 지난해 9월부터 석달 동안 최병식 경희대 교수 등 전문가 5명이 현장조사와 미협 이사장과의 토론, 설문조사 등을 바탕으로 쓴 것이다.

보고서는 먼저 미술대전이 1990년대에도 영상, 설치 등 최신 사조나 실험적 경향을 외면하고 보수장르만 수용하는 근대 관전의 행태를 여전히 좇고 있다고 비판했다. 미협의 경우 89년 운영을 이관받으면서 업무가 집중되어 미술대전만을 위한 이익단체로 바뀌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집행부가 3년마다 선거로 바뀌면서 장기적으로 안정된 진행이 어렵고, 규모나 성격 등에서 각 대전 행사를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행정적 한계를 드러냈다는 진단이다. 운영위원 대다수가 작가들만으로 구성되고, 이들이 심사위원을 친분관계로 추천하는 관행도 도마에 올랐다.

이와 함께 평가기간 작가, 평론가, 기자 등 302명에게 설문한 결과 대전 운영과 심사가 불공정하다는 의견이 70.5%에 이르는 것으로 나왔다. 가장 심각한 문제로는 학연중심 심사(59.9%)가 꼽혔고, 구상, 비구상으로 나뉜 공모방식도 57.9%가 문제가 있다고 지적됐다. 또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6.9%가 공모형식, 심사방식, 주최단체 등의 전면개선을 요구했고, 다양한 검증으로 소수에게만 상을 주자는 의견(82.7%)도 압도적이었다. 평가위원들은 보고서에서 이를 바탕으로 소수 정예작가 선발체제 전환, 자유공모, 추천공모전 분리, 장단기 전략 구축, 미협 적립금 10억원의 작가기금 재활용 검토 등을 제안했다.

한편 위원들은 연말 보고서 제출 당시 내용을 언론에 즉시 공개할 것과 올 상반기 공청회 개최, 전담연구팀 신설 등을 건의했으나 문예진흥원은 이를 묵살한 것으로 드러나 그 배경에 대해 궁금증을 낳고 있다.

노형석 기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