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시각예술위원회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발족과 함께 보다 나은
민간위원회의 문화예술지원정책 수립과 집행을 위하여 현장미술인들의 직접적인 참여가
가능한 시각예술 정책포럼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이는 시각예술위원회가 미술인들의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미술분야의 정책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미술지원정책을
수립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시각예술 정책포럼의 출발은 민간위원회의 기능에 정책기능을 확대하여 미술계의 다양한 여론을 듣고
이를 미술지원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아울러 이 포럼을 통하여 미술인들의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고 소통될 수 있는 대화의 마당이 되리라 기대합니다.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 드립니다.
1) 행사개요
*행사명: 2006 시각예술 정책포럼
*주 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시각예술 소위원회
*일 시: 격월 1회 총(6회)
*장 소: 아르코미술관
2) 전체포럼일정
1차 예술가 창작환경조성 / 5월 25일 / 공동주관: 미술인회의 /
내용: 등단 및 지원, 지역창작촌, 스튜디오 시스템 및 기반조성
2차 미술시장 / 6월 / 공동주관: 한국화랑협회(예정) / 내용: 아트페어, 옥션
3차 예술가 복지제도 / 9월 / 공동주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예정) /
내용: 예술가협동조합, 세법, 복지제도 등
4차 공공미술 / 10월 / 내용: 미술장식제도, 공공미술프로젝트
5차 시각예술의 국제화 / 12월 / 공동주관: AFI 조직위원회 / 내용: 비엔날레, 프로모션
6차 시각예술교육 / 2007년 2월 / 공동주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예정) / 내용: 공교육, 사교육
*참조: 공동주관과 포럼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1차 시각예술정책포럼
일 시: 2006년 5월 25일(목) 오후 2시- 5시
장 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주 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시각예술 소위원회, (사) 미술인회의
주 제: 새도 둥지에서 알을 품는다! (예술가 창작환경조성)
*목적
-창작스튜디오 관련자들을 발제나 토론에 관계없이 초청하여 객석토론을 활성화 합니다.
-창작스튜디오에 있어 창작스튜디오 상호간의 네트워킹이 형성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합니다.
-창작스튜디오 정책을 생산할 수 있는 적극적인 현장의 문제를 수용합니다.
*내용
사회: 김준기 (미술비평, 경희대 겸임교수)
① 창작스튜디오 지원정책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발제1 : 창작스튜디오 지원정책 개선방안: 양건열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연구위원)
② 창작스튜디오 운영 현황과 실제
사례1: 국공립 창작스튜디오: 창동 스튜디오 운영에 관하여: 조주현(창동스튜디오 프로그램 매니저)
사례2: 민간운영 창작스튜디오: 쌈지 스튜디오 운영에 관하여: 신현진(쌈지 스페이스 큐레이터 )
사례3: 농촌지역 폐교활용 스튜디오: 창문 아트센터 운영에 관하여: 박석윤(창문 아트센터 관장)
사례4: 개별 작가 스튜디오 매핑 : 서송 (작가, 일산 오픈스튜디오)
사례5: 부산의 창작촌 운영과 문제점: 서상호 (부산지역 폐교활용 창작촌 운영작가)
Contact Info : 백종옥(시각예술 소위원회 정책포럼 코디네이터)
010-9700-1930 / maler100@dreamwiz.com
'민미협 아카이빙 > 2000년~2009년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4일, 대추리 국가 폭력 사태에 관한 문예인 단체 긴급 연석회의 (0) | 2020.10.09 |
---|---|
5/17-미군기지확장계획전면재검토를 위한 범문화예술인 기자회견 (0) | 2020.10.09 |
[토론회] 한미FTA와 문화예술 (0) | 2020.10.07 |
국립현대미술관 일반계약직공무원 채용 공고 날짜 : 2006.05.23 (0) | 2020.10.07 |
국립현대미술관 별정직공무원 채용 공고 날짜 : 2006.05.23 (0) | 2020.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