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미협 아카이빙/2000년~2009년대 자료

기초예술살리기범문화예술인연대(가) 출범

by (사)한국민족미술인협회 2020. 7. 27.


기초예술살리기범문화예술인연대(가)를

결성하는 출범식을 아래와 같이 가질 예정입니다.

------------ 아 래 -----------

일시 : 2004년 4월 2일(금) 오후 2시
장소 : 대학로 마로니에 미술관 3층 강당
주요 참석단체(개인) : 예총, 민예총 등 40여개 국내 주요 문화예술단체장 및
                      문화예술인 100여명

3. 출범식과 아울러 “기초예술 왜 중요한가?”를 주제로 한 포럼이 개최됩니다. 포럼의 개요는 아래와 같습니다.

----------------------- 아    래 ------------------------

제목 : 기초예술 위기 타개를 위한 제1차 연속포럼 “기초예술 왜 중요한가”
일시 / 장소 : 2004년 4월 2일(금) 14시 40분 - 17시 40분 / 대학로 마로니에 미술관 3층
패널
사회 : 오세곤(순천향대 연극과 교수)
기조발제 : “기초예술, 왜 중요한가” - 황석영(소설가, 민예총 회장)
제2 발제 : “기초예술 위기에 대한 보고서”
문학 : 발제 - 고명철(평론가, 광운대 겸임교수) / 토론 - 전성태(시인), 백시종(소설가)
연극 : 발제 - 김철리(연극 연출가) / 토론 - 최용훈(?)
시각 : 발제 -
전통 : 발제 - 김덕수(신명난생활문화진흥회 이사장) / 토론 - 원일(전통음악인),
무용 : 발제 - 한혜리(평론가, 경성대 교수) / 토론 -
음악 : 발제 - 홍승찬(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 / 토론 -
제3 발제 : 기초예술 위기,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 방현석(소설가)
지정토론 : 채승훈(서울연극협회장)


4. 자세한 내용은 별첨과 같습니다. 귀 언론사의 취재와 보도 부탁드립니다.

※ 출범식 자료와 포럼 자료집은 행사 당일 배포할 예정입니다.

# 별첨 : 기초예술연대 제안서
## 문의 및 연락처 : 오세곤 019-302-7250 / 안성배 016-413-7484

2003년 3월 30일(화)

기초예술살리기범문화예술인연대(준)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예총/ 회장 이성림)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민예총/ 회장 황석영)
문화연대 (대표 김정헌), 대학로포럼 (대표 한상철)
미술인회의 (대표 성완경), 민족문학작가회의 (대표 염무웅)
민족미술인협회 (대표 여 운), 민족사진가협회 (대표 김영수)
연극배우협회 (대표 허연호), 서울시공연장협의회 (대표 정재진), 한국건축가협회 (대표 윤석우), 한국미술협회 (대표 하철경), 한국연극연출가협회 (대표 심재찬), 한국음악협회 (대표 김용진)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대표 성기조)
문화예술위원회 설립을 촉구하는 전국 범예술인연대
진정한 문화개혁을 촉구하는 전국 연극과 교수 연대,
서울연극협회(대표 채승훈), 한국희곡작가협회
한국연극연출가협회(회장 심재찬), 한국연극배우협회(회장 허현호)
극단 지구연극연구소(소장 김태훈), 한국무용교육학회(대표 김화숙),
KBS KOREA, 한국무용예술학회(회장 김말복)
한국춤정책연구소(소장 장광열), 국제무용협회(CID) 한국본부(회장 이종호), 한국무용사학회(회장 이병옥), 한국무용교수학회(회장 김화숙)
동숭아트센터, 한국연극기획제작자협회 추진위원회, 사물놀이 한울림
신명난 생활문화진흥회(이사장 김덕수), 서울프린지네트워크(대표 이규석), 민족건축인협회 (대표 양상현), 민족굿위원회 (대표 김남수)
민족서예인협회 (대표 여태명), 민족영화인위원회 (대표 김동원), 민족춤위원회 (대표 김채현), 한국국악협회 (대표 이영희)
한국무용협회 (대표 조흥동), 한국문인협회 (대표 신세훈), 한국민족극운동협회 (대표 채희완), 한국민족음악인협회 (대표 오용록), 한국사진작가협회 (대표 백영환), 충남연극협회(대표 오태근), 광주문화포럼(대표 김경주), 공연예술매니지먼트협회(대표 강석흥), 우리만화연대(대표 이희재)

- 이상 49개 단체(無順) -


기초예술 살리기 문화예술인 연대(가)』

□ 배경

   ㅇ IMF 이후 심화되고 있는 예술 현장의 붕괴와 기초예술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
   ㅇ 2004년도부터 문화예술진흥기금의 모금 폐지로 인한 문화재원의 부족과 복권기금 등을 통한 안정적 문화예술 재원 확보 필요
   ㅇ 예술현장 중심의 문화예술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문예진흥원의 문화예술위원회로의 전환 지연


□ 추진방향

   ㅇ 기초 예술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 도출 노력 전개
   ㅇ 문예진흥원의 위원회 전환과 안정적 문화예술 재원 확보를 위한 사회적 여론 형성과 대정부 및 국회의 정책반영을 위한 활동 전개
   ㅇ 기초 예술의 위기 극복을 위한 범 문화예술계의 “(가칭) 기초예술 살리기 문화예술인 연대” 조직 결성


□ 연대조직 구성 및 운영 방안

   ㅇ 구성원칙
      - 예술 장르별, 분야별로 예술 현장 중심의 범문화예술계 차원으로 연대 조직 결성
      - 기초예술과 예술 현장의 위기에 대한 적극적 발언을 하고 있는 현장 조직 및 개인 중심으로 우선 구성하고, 점차적으로 확대 운영

   ㅇ 구성대상(안)
      - 문화예술위원회 설립 지지서명에 참여한 예총, 민예총, 대학로포럼, 민족문학작가회의, 한국연극연출가협회 등 40개 문화예술단체를 중심으로 각 장르의 범 예술단체 참여(단체자격 참여)
      - 기초예술의 위기 극복과 문예진흥원의 위원회 전환을 추구하는 문화예술계 인사(개인자격 참여)

   ㅇ 조직운영
      - 기초예술 살리기라는 목적을 위해 모인 한시적 연대 활동 조직으로 소기의 목적이 달성될 때까지 한시적 운영
       ⇒ (가칭) “기초예술 살리기 문화예술인 연대”(이하 ‘기초예술연대’)
      - 임시기구의 대표(공동대표 등)와 공동 집행위원장 및 실무진 구성
      - 일상적 활동은 공동 집행위원장과 실무진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중요한 의제 및 활동은 전체모임에서의 논의를 통해 결정

   ㅇ 추진활동
      - 기초예술의 가치 확산을 위한 토론회 등 공론의 장 마련
      - 기초예술의 현황 및 실태 파악 조사 연구 활동
      - 언론, 방송 등 매체를 통한 기초예술 중요성 캠페인 전개
         ex) 주요 언론사와 “기초예술 살리기” 공동 기획 추진
      - 기획예산처 등 정부, 국회, 정당 등 예술정책 및 문화재정 확보와 관련, 기초예술의 중요성 인식 확산을 위한 방문활동
      - 문화예술위원회 전환을 위한 법령안 개정 등 여건 조성 활동
      - 기초예술의 위기 타개를 위한 범예술인 서명 등의 활동
        

□ 활동 자금 조달 방안

   ㅇ 연대 조직활동 경비 : 약 3천~5천만 원 내외(추정)
     - 예산확보 : 문예진흥기금(계기성우수기획사업) 활용 협조

   ㅇ 주요 지원 가능 사업
     - 문화포럼 및 토론회 개최
     - 기초예술 확산을 위한 각종 활동(문화행사 개최 등)
     - 기초예술의 현황 및 실태 파악 조사 활동
     - 관련 자료집 발간 등

      
□ 향후 추진일정(안)

   ㅇ 제1차 문화포럼 및 기초예술연대 출범식 개최
      - 시기 : 2004년 4월 초
      - 장소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 3층 강당
      - 문화포럼
        ․주제(안) : 기초예술의 위기,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주제 및 패널 : 추후 확정
      - 기초예술연대 출범 기자회견 : 포럼개최 직후 시행

   ㅇ 향후 추진계획 (세부일정 협의 후 확정)    
      - 참여단체 모집 : 3월 19일까지 1차 완료(40개 단체 예상)
       ․3월 19일 5시 제안 발기인 모임 개최
      - 기초예술 현황 및 실태 파악 착수 : 별도 연구
      - 문화관광부 및 기획예산처, 복권위원회 방문(대표단)
      - 문화포럼 정기 개최
      - 기초예술 확산을 위한 문화행사 개최 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