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미협 아카이빙/2000년~2009년대 자료

문화예술위원회 설립 환영'민예총ㆍ예총 등 범 문화예술계, 공동 기자회견 개최

by (사)한국민족미술인협회 2020. 7. 27.

'자율성 신장 - 문화예술위원회 설립 환영'
민예총ㆍ예총 등 범 문화예술계, 공동 기자회견 개최



진보와 보수를 넘어선 “범 문화예술계”가 문예진흥원의 문화예술위원회 전환에 뜻을 같이 했다.

민예총, 예총, 문화연대 등을 비롯한 29개 주요 문화예술단체들은 25일(화) 11시 대학로 바탕골 소극장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문예진흥원의 문화예술위원회 전환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히고, 국회에 상정돼 있는 문화예술진흥법의 조속한 통과를 요구했다. 기자회견은 민예총 김용태 회장, 예총 이성림 회장, 문화연대 김정헌 대표를 비롯, 29개 문화예술단체를 대표하는 100여명의 인사가 참여한 가운데 이뤄졌다.

이들은 연합 성명서를 통해 “문화예술위원회의 설립은 문화적 다양성, 창의성, 자율성 신장을 위해 절실히 필요하다”며 그 이유로 △독임제 구조의 문예진흥원의 틀은 급변하는 문화환경에 대응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점 △문예진흥원의 단순분배식 지원은 적극적이고 선택적인 기획지원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점 △민간주도의 위원회는 예술인들로 하여금 자율적이고 현실적인 사고를 일깨워 새로운 예술정책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는 점 △문화예술위원회는 예술적 가치가 지원의 기준이 되어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받는 기구가 될 것이라는 점 등을 내세웠다.

이들은 또, 최근 문화예술위원회로의 전환 논의 과정에서 제기되고 있는 몇 가지 우려에 대해서도 “위원 인선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기하고 문화예술인들의 비판을 겸허하게 수용하여 준비에 만전을 기할 것”을 문화관광부에 촉구했다.

참석자들은 실무대표단을 꾸려 기자회견을 마친 후 성명서를 국회에 전달했다. 이들은 ꡒ정기국회에서 문예진흥법 개정안을 조속히 의결해 줄 것ꡓ을 요구하며 정치적인 고려에 의해 새로운 예술정책에 대한 예술인들의 열망을 저버리지 말 것을 당부했다.

기자회견에서는 기자회견 개최 배경과 과정에 대한 기자들의 열띤 질문공세가 이어졌다. 이에 대해 예총 이성림 회장과 김종헌 사무총장은 “개개인의 찬반 여부를 떠나 예총 내부의 논의를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 찬성 입장에 서게 된 것이며, 이 자리에 개인 자격이 아닌 단체의 ‘대표’ 자격으로 나왔다”고 강조했다.

민예총 박인배 상임이사도 '자율성, 창의성,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예술계의 특성상 자율적 예술진흥 정책에 대한 기대는 이미 오래 전부터 저변이 형성되어 온 것“이라며, '그간 문화예술위 설립을 두고 오해도 더러 있었으나 앞으로는 그 세부 내용을 제대로 짜나가는 일에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한 인사는 뒤풀이 자리에서 “이번 기자회견을 통해 그 동안 문화예술계가 문화예술위원회 도입을 두고 보혁 갈등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인식은 실체와 근거가 없는 것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참여와 자율의 가치를 제고하려는 문화정책의 변화가 진보와 보수를 떠난 문화예술계 전체의 개혁 현안이라는 점이 판명됐다는 것이다.

이번 기자회견으로 국회 상임위에서 문예진흥원의 문화예술위원회 전환을 주요 골자로 하는 문예진흥법 개정안의 처리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게 됐다. 문화예술위원회 설립을 정치적 문제로 해석하고, 이에 반대하려던 일부 국회의원들의 태도 변화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더 이상 반대할 명분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민예총]일일문화정책동향 제 930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