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상 부활로 미술대전 권위 회복될까>
[연합뉴스 2005.01.20 05:55:07]
(서울=연합뉴스) 류창석 기자 = 한국미술협회(이사장 하철경)가 올해부터 대한민국미술대전 수상제도에 대통령상을 도입하겠다고 최근 밝혔다.
대한민국미술대전은 1949년 개설된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의 후신으로, 정부가 운영하던 것을 1982년부터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을 거쳐 1989년 한국미술협회에 이관하면서 명칭이 바뀐 것이다.
문예진흥원은 매년 1억2천만원 규모의 기금을 지원해왔으며 미술대전 자립운영 을 목표로 10억여원에 달하는 미술대전 수익금을 적립하도록 했다.
그러나 심사와 수상자 선정을 둘러싸고 잡음이 끊이지 않았고 시대 변화를 능 동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미술계 일각에서는 미술대전의 효용 성에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한국 최대 규모의 신인미술작가 등용문으로 국전의 맥을 잇고 있지만 운영위원과 심사위원 구성을 둘러싼 금품수수 의혹이 특히 대한민국미술대전의 권위를 크게 추락시켰다.
한국미술협회는 추락한 대한민국미술대전의 권위회복을 위해 국전 당시 있었던 대통령상을 도입하고 상금 액수도 늘린다.
기존에는 비구상과 구상, 공예, 서예, 문인화. 디자인 등 6개 부문별로 대상 1명과 우수상 4명, 특선자와 입선자를 뽑았다.
새로 대통령상이 도입되면 1부의 비구상(한국화.서양화.판화.조각), 서예, 문인화 등 6개 부문을 통틀어 대통령상 1명과 국무총리상 1명, 문화부장관상 2명, 문예진흥원장상 3명을 뽑고 2부의 구상(한국화.서양화.판화.조각) 공예, 디자인 등 7개 부문에서 대통령상 1명, 국무총리상 1명, 문화부장관상 2명, 문예진흥원장상 3명을 선정한다.
대통령상과 국무총리상의 상금은 각각 3천만원과 2천만원이다.
과거의 국전 때처럼 대통령상을 도입하고 그 상금을 늘린다고 해서 대한민국미술대전의 권위가 회복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한국미술협회는 예전과 달리 미술대전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살리기 위해 심사나 운영과정에 미술협회 회원만이 아니라 민족미술인협회 등을 참여시키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구체적 참여방법이나 시대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방안 등은 아직 제시하지 않고 있다.
kerberos@yna.co.kr
(끝)
'민미협 아카이빙 > 2000년~2009년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보=달리展 10억대 조각품 파손 (0) | 2020.11.01 |
---|---|
“문화예술위원회 전환의 원칙과 방향” 포럼 (0) | 2020.11.01 |
미술은행제, 시장 살리는 계기될까?-펌 (0) | 2020.11.01 |
미술은행(Art Bank)설립, 운영을 위한 공청회 (0) | 2020.11.01 |
문화예술위원회 설립 환영'민예총ㆍ예총 등 범 문화예술계, 공동 기자회견 개최 (0) | 2020.10.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