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미협 아카이빙/2000년~2009년대 자료

민예총 등 문화부ㆍ진흥원에 지원중단 성명

by (사)한국민족미술인협회 2020. 11. 1.

미술문화 황폐화시킨 미술대전 지원 중단하라
시선집중! > 이슈
[민예총 등 문화부ㆍ진흥원에 지원중단 성명]

  

▲ 23회 미술대전 구상부문 대상을 받은 정종기의 '그들만의 언어'. 미술대전은 자의적인 심사와 폐쇄적 운영방식으로 비판받아 왔다.
대통령상 도입으로 대한민국미술대전 행사의 위상을 끌어올리겠다는 한국미술협회(이사장 하 철경)의 발표가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문화예술단체들이 문화부와 문예진흥원에 미술대전에 대한 지원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민예총, 민족미술인협회, 문화연대, 미술인회의 등은 25일 <문화부는 미술대전에 대한 기금지원을 중단하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미술대전이 그간 보여준 폐단을 지적하고 문화부와 문예진흥원에 미술대전 기금지원 중단을 요청하는 한편 미협에도 사업을 포기할 것을 제안했다.

많은 이들이 오랫동안 지적해온 미술대전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폐쇄적인 운영과 자의적인 심사방식이었다. 단체들은 미술대전이 이런 문제들로 인해 “미술의 사회적 기능 확대를 가로막고 미술가와 비미술가를 분리시켜 미술을 미술 내에만 갇힌 자폐아로 만들어 버렸다”며 매섭게 비판했다. 미술대전이 “미술문화의 토양을 일구기보다 그 열매를 따먹는데 급급해 그 토양 자체를 황폐화시킨 장본인”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미술대전의 권위는 그 스스로가 추락시켜 왔다”고 지적했다. 미술대전이 “학연으로 얼룩진 심의, 금품수수 등 온갖 비리”로 수 차례 법적처벌까지 진행되는 와중에서도 미협이 “심사위원 개인들만의 문제로 치부하며 책임을 회피한 채 계속 문제들을 반복하는 파렴치한 모습”을 보여왔다는 것이다.

대통령상 도입에 대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들이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 “대통령의 이름을 빌어 한국최고의 권위를 내세운대도 그것이 먹힐 리 만무하다”며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들은 이어 “문제는 이 사업이 지정공모사업으로 지정되어 버젓이 공공기금을 지원받아 진행된다는 데 있다”며 문예진흥원과 문화부가 사업에 대한 지원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문예진흥원이 이미 2003년 자체평가를 통해 ‘지원할 필요가 없다’고 밝힌 사업에 대해 지원을 계속하는 것은 넌센스란 지적이다.

이들은 또, 미협에 미술대전 폐지를 제안하며 미술인의 권익이나 미협의 위상이 “한줌의 권력에 대한 유아적인 집착으로 지켜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의 미술문화 발전을 위한 폭넓은 활동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라고 충고했다.

미술대전은 앞서 지적한 여러 문제들로 인해 2003년 문예진흥원이 외부인사들을 위촉, 심층평가가 진행되었고 이에 따라 2004년 7월 공청회가 열린 후 TF(Task Force)가 구성되어 미술대전의 개선방향을 논의해 왔다.

문예진흥원의 한 관계자는 “TF가 내어놓은 개선안에 대해 미협과 후속논의를 통해 세부적으로 결정할 부분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대통령상 부분이 필요이상으로 부각된 것 같다”면서 개선안에는 ‘미술계 전체참여를 통한 문제개선’, ‘지명공모제 신설을 통한 새로운 흐름의 수용’ 등 이전까지 계속 문제가 되던 부분들에 대한 점진적 개선을 담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문예진흥원이 미술대전을 심층평가 대상으로 선정하고 개선안의 시행여부를 파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THⓒ컬처뉴스] 2005-01-25 오후 6:55: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