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문화강좌 안내]
영속적인 사회를 위한 문명과 문화 찾기를 연세대학교 사회교육원 '생태문화' 강좌로 열게 되었습니다.
자연과 공존 공영하는 적정한 과학기술의 체험과 도시와 농촌 그리고 새로운 관점으로의 자연적인 농업, 자연스러운 농민되기를 이번
생태문화강좌로 만나실 수 있습니다.
▣ 강의내용 :
▷ 왜 생태문화인가 - 오리엔테이션
▷ 유기적인 도시와 농촌의 지역문화 그리고 축제문화의 새로운 인식
▷ 생명력이 넘치는 정직한 농사
▷ 미래의 '에너지농업과 발향초 농업'
▷ 농촌에서의 마을학교 이야기
▷ 적정한 자연에너지 찾기
▷ 자연환경과 설치미술
▷ 아름다운 마을 만들기
▷ 바른 마음, 자세를 통한 스스로 몸 돌보기 -
▷ 현장체험(연세대학교 덕소농장의 숲에서 하룻밤 체험)
▷ 농촌, 농업에서의 건강한 삶 이야기
▷ 민속식물 이야기
▷ 생태건축 이야기
▷ 자연환경과 정신세계
▷ 대안사회로 나아가는 길 / 생태 공동체 운동
▷ 도시와 농촌이 함께 사는 길
▷ 적정기술의 발견
▷ 새로운 가능성, 생태창업
* 프로그램은 다소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장 소 : 연세대학교 사회교육원 생태문화강의실
▣ 교부 및 접수일시 : 2005년 2월 14일(월)∼2월 28일(월)
▣ 교육과정 : 2005년 전기16주·후기16주(년1회)
▣ 강의시간 : 매주 수요일 오후 7:00 ~ 9:00
▣ 등록금 : 한 학기당 230,000원 / 납부안내 : 등록후 우리은행 연세지점에 개강전까지 납부
▣ 등록안내 : 연세대학교 사회교육원 교학과(☏ 2123-3581∼2 Fax 392-0622)
▣ 강좌문의 : 류기석(생태문화)(☏ 2123-2740 손전화 019-556-6811)
▣ 홈페이지 : http://www.yonsei.ac.kr/socio/
▣ 책임교수 : 박민용(정신과학)
▣ 참여강사 :
박민용(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정신과학회 부회장)
설용건(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연세CT연구단장)
유영권(연세대학교 신과대학 교수, 연세상담소장)
신의순(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동서문제연구원 지속발전개발센터장)
류기석(연세대학교 실험전문주임/생태공동체운동가, 친환경농업컨설턴트사)
이병화(전 KBS문화사업단 부장, 지역향토문화 및 역사학자)
이상명(궁노루 대표,한국허브협회장)
송홍선(농학박사, 민속식물연구소장)
고제순(교육학박사, 흙처럼 아쉬람)
양성욱(공학박사, 한국도시건축병리연구소장)
한창호(연세미디어아트센터, 사진작가)
박형규(문경 작은누리 대표, 모래실배움터 교장)
오덕훈(농부, 상주친환경농업학교장)
이근행(생태공동체운동센터 사무국장)
이영우(영양군청 기획실팀장)
김점규(창업컨설턴트, 생태창업지원센터장)
류선무(경복대학 관광과 교수, 청농관광농업연구소장)
유영권(심리상담),
이근행(생태공동체센터),
주형노(홍성농부, 환경농업마을),
권술룡(사회복지, 평마단식),
이규원(자연의학),이영환(파동의학),홍종덕(전기관련 발명가) 외 여러분들이 함께 참여하십니다.
▣ 교육목표 :
1) 수도권 시민들을 자연친화적인 삶으로 안내하는 사회교육
2) 삶의 질을 높이는 미래 지향적인 사회교육 실현
3) 생명과 환경위기 시대의 대안적인 학문풍토 조성
4) 미래지향적인 Green Communities Campus 구현
5) 지속가능한 사회의 구현을 위한 친환경적인 과학기술로 생태 창업하는 풍토조성
6) 도시와 농촌의 전통적인 역사와 문화를 새로운 가치로 교육하는 생태문화강좌
7) 농촌과 농업을 새로운 가치로 인식하게 하는 체험교육위주의 생태강좌
8) 생태문화교육 강좌를 통한 체험실습으로 풍요로운 노후설계
9) 안전하고 창조적인 여가생활과 수준 높은 공동체문화 구현
* 수강료가 다소 문제가 될듯 합니다만 함께 할 수 있는 편안한 문화공간을 만든다고 생각하시고,
만났으면 합니다. 매주 수요일 마다 수업시간이 아닌 서로가 축제의 시간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민미협 아카이빙 > 2000년~2009년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도록 받고 싶은 대통령상" (0) | 2020.11.01 |
---|---|
기초예술 살리기 위한 법,제도적 지원 방안 (0) | 2020.11.01 |
기초예술 활성화를 위한 법, 제도적 지원에 관한 토론회 (0) | 2020.11.01 |
2005 한국전통공예건축학교 수강생모집 (0) | 2020.11.01 |
3차 열우물길프로젝트- 아름다운 동네길 展 (0) | 2020.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