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시안내/2001년~2009년 전시

최민화, “이십세기 회화의 추억”

by (사)한국민족미술인협회 2020. 9. 26.



최민화전
인사아트센터 2층 제2전시장
2009년 10월 21일(수) - 11월 3일(화)
2009년 10월 21일(수)부터 11월 3일까지 인사동 인사아트센터 2층 제2전시장에서는 <최민화전: 이십세기 회화의 추억전>을 갖습니다. 작가는 지난 92년부터 진행해오던 20세기시리즈의 일환으로 <이십세기 회화의 추억> 제하의 신작 15점을 선보입니다. 실험과 도전의 연속이었던 20세기를 회화 그 자체로서 회고하는 독특한 형식의 전시입니다.

작가 최민화(1954~ )는 지난 세기에 등장한 대중문화의 아이콘(icon)에 주목합니다. 시대의 도상인 아이콘들은 20세기 회화사를 장식한 동시대 거장들의 기법으로 새롭게 표현됩니다. 작가는 각각 9에서 10부작의 형태로 제작된 작품들로 모더니즘에서부터 포스트모더니즘을 아우르는 야수파, 입체파, 표현주의, 다다이즘, 미래주의, 초현실주의와 팝아트의 현란한 표현기법을 자유자재로 해석하고 구사하는 동시에 ‘나른한 핑크’로 알려진 화가 자신만의 회화로 마무리 지으며 동시대 의식을 표방하고 있습니다.

<이십세기 회화의 추억>에서 프리다 칼로가 되어버린 마릴린 먼로는 치마를 날리며 있고, 채플린은 뭉크의 회화로 절규하고, 이소룡은 고흐의 밀밭에, 카사블랑카의 잉그리드 버그만과 험프리 보가트는 클림트의 키스를 하며,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뒤샹의 콧수염을 달고 있습니다. 붉은 입술의 제임스 딘은 워홀의 실크스크린으로, 오드리 햅번은 피카소의 큐비즘으로 분해조립 됩니다.

최민화 작가의 변화무쌍한 붓 놀림은 20세기 거장들과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 조우합니다. 여기에서 얻어지는 극적인 반응은 그의 분홍빛 농담만큼이나 야릇한 즐거움을 선사할 것입니다.

1. 전시개요
1) 전시명: 최민화전: 이십세기 회화의 추억
2) 전시장소: 인사아트센터 2층 제2전시장
3) 전시기간: 2009년 10월 21일(수) ~ 11월 3일(화) / 오프닝 : 10월 21일(수) 오후 5시
4) 장르: 회화
5) 주최: ART2513
6) 담당: 백한승팀장 E: lightnshade@empal.com T: 02)953-8401 C: 010)6235-5123

2. 전시글

이십세기 회화의 추억
박순영(미학)

회화를 통해서 20세기를 추억하는 것은 상당히 흥미로운 일이다. 뒤샹에서 워홀, 세잔에서 베이컨 회화에 이르기까지 한 세기에 이토록 다양한 양식이 나타난 적도 없었고, 더구나 우리는 이들을 미술관에서 감상할 수 있을 뿐 추억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추억한다는 것은 감상하는 것과 다르다. 이것은 의지적이기도 하지만 비자발적이기도 하다. 원한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원하지 않아도 떠오르는 것이다. 그래서 누군가 어떤 것을 추억하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그의 의도뿐만 아니라, 그를 부추긴 동인(動因)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더구나 그가 예술적인 형식을 통해 표현하려 한다면 더욱 그렇다. 그래야 우리는 그의 추억을 진정 흥미로워 할 수 있을 것이다.
최민화는 그림을 그리는 화가이다. 화가는 그림을 통해서 세계를 표현하고, 자신을 표현한다.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것, 말하고 싶은 것, 하고 싶어서 견딜 수 없는 것을 오로지 그림을 통해서 표현한다. 그렇게 표현되는 것은 자신이 원하는 것이기도 하고 자신을 원하게 한 것이기도 하다. 최민화는 그림을 통해서 20세기를 표현하고자 한다. 그는 지난 한 세기를 추억하기 위해서 그림을 그렸다. 그의 그림들은 개인적인 경험을 기록하거나 사회현상을 재현하지 않는다. 만일 그랬다면 하나의 저널이 되었을 것이다. 그는 자신이 온몸으로 살아온 그 한 세기의 화가들을 불러들였다. 그들은 한 시대의 다른 반항아들이다.
새로운 양식은 전통에 대한 반항에서 시작한다. 전통은 이전의 것이다. 예술가는 항상 아방가르드이다. 금기를 거부하면서 인간이 탄생했듯이, 예술은 항상 금기에 대한 거부에서 시작한다. 그들은 공통적으로 ‘그깟 사과!’ 라는 태도를 갖고 있다. 한편으로 의심을 하고, 한편으로 호기심을 갖는다. 의심과 호기심이 정점에서 폭발할 때, 그때 남는 그 흔적은 예술작품이 된다.
최민화, 그가 호출한 화가들이 의심했던 금기는 재현의 양식이다. 재현의 양식은 아무리 애를 써도 어떤 것의 모사라는 굴레를 넘어설 수 없다. 그래서 항상 어떤 것에 종속된다. 이데아, 신, 도덕 등. 그러나 회화가 회화이기 위해서는 재현에 만족해선 안된다. 그래서 그들은 시선의 방향을 아래로 향했다. 그리고 금기로 인해 발생한 호기심을 해결하기 위해 냄새나 고함을 그리고, 모사를 모사하고, 입체를 화면에 던져 터뜨리고, 심지어 피부를 벗겨내기도 한다. 이로 인해 드디어 모상이 전복되었다. 이제 그 화폭에 필터를 장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화가는 세상에 충혈된 만큼 화면을 충혈시킨다. 자신이 분홍에 충혈되었다면 보이는 세계의 그려지는 풍경은 분홍이 될 수밖에 없다. 복사된 원본이 20세기를 시작했고 변형과 분해, 낙서와 같은 많은 반항들이 한 세기 동안 여기에 흔적을 남겼다. 끝으로 등장하는 분홍회화. 최민화는 그가 요청한 작가들과 더불어, 그리고 그 태도와 더불어 나머지 세상을 온통 분홍으로 물든 진달래 세상으로 만든다.
<이십세기 회화의 추억>의 작품들은 각각 하나의 인물이 다른 양식으로 반복된다. 추억한다는 것은 과거의 반복이다. 하지만 차이나는 반복이다. 차이나는 것이 차이나는 것과 관계하는 반복이다. 과거의 추억은 지나 온 시간만큼 반복하면서 증식한다. 따라서 추억에서 반복되는 것들은 동일성이나 유사성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반복이 아니다. 그렇다고 서로 대립하거나 비교되는 반복도 아니다. 그래서 재현에 내재되어 있는 반복과는 다른 반복이다. 최민화의 반복되는 이미지는 추억의 반복이지 재현의 반복은 아니다. 20세기의 아이콘적인 인물이거나 화가가 개인적으로 아는 익명의 민중이거나 최민화의 회화에서 20세기의 회화를 대변하는 반항적인 필치들로 반복된다. 하나의 작품은 10개의 복사된 원본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각각 다른 양식의 특이성을 띄고 변형되었다. 이러한 반복은 원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대번에 원본의 반복임을 알 수 있다. 뒤샹이 그리던지 워홀이 찍던지 마릴린먼로는 여전히 치마를 날리며 서있다. 한편으로, 각각의 작품에 선택된 다른 인물들은 동일한 화가들의 양식에 의해서도 변형되었다. 제임스딘은 귀가 잘린 고호의 자화상이 되고 히치콕은 까마귀가 나는 밀밭에 서있다. 지미핸드릭스는 고기덩어리를 갖고 연주하고, 이소룡은 검은커텐 앞에서 고함을 친다. 콧수염을 붙인 엘리자베스테일러와 익명의 여인, 그리고 분홍빛으로 물든 모든 사람들, 이러한 반복도 원본성을 손상치 않는 것은 마찬가지다. 그래서 우리는 대번에 같은 양식의 반복임을 알 수 있다. 관람자가 확인하는 반복들이 표면적인 차원에서 이뤄지지만 않는다면, 그들은 분명 차이나는 반복, 즉 생명적인 반복을 목격하게 될 것이다.
최민화 작가는 다양한 화가들의 어떤 유일무이하고 독특한 것들을 화면에 잘 옮긴 화가이다. 그래서 그의 반복에는 그들의 비밀스러운 어떤 떨림이 있다. 그의 표현이 사뭇 농담처럼 가볍게 보일지라도, 이러한 떨림은 심층적이고 내면적이라서 이를 느끼는 것은 오직 관람자의 몫이다. 떨림의 직접적인 작용은 몸에서 일어난다. 최민화는 20세기를 추억하기 위해 그의 몸을 빌어 그 시대의 화가들과 접신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20세기를 추억하기를 원한다면 머리를 통해 반복을 인식하는 것보다 몸을 통해 그 떨림을 느껴야 할 것이다. 누군가가 된다는 것, 과거로 빠져든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그것은 누구나 간절히 원한다면 극중 배우가 아니더라도 가능한 일이 아닐까.



Remembrance of the 20th Century Paintings

Soonyoung Park(Aesthetics)

It is a very interesting thing to recall the 20th century through painting. Because from M. Duchamp and A. Warhol to P. Cezanne and F. Bacon, it was never done before that various painting styles appeared for a century. In addition, we just can appreciate those in a museum but we cannot recall. Recalling has differences with appreciating. It is volitional and also involuntary. It does not matter with desire. Even if you don’t want to do, it happens. So if someone wants to recall a thing, he or she needs to be interested in not only an intention but also a motive. Furthermore he or she wants to express it through an artistic way, even more so. Then we will truly be interested in his memories.
Minhwa Choi is an artist. He paints pictures. An artist expresses the world through paintings and oneself. An artist expresses what he or she tries to say, what he or she wants to say, and what he or she really wants to do only through paintings. Those things expressed that way are what he or she wants to do and what he or she is wanted to. Minhwa Choi tries to express the 20th century through paintings. He has drawn paintings in order to recall last century. He did not record his personal experiences or reappear social phenomena in his works. If he did it, those might be a kind of journal. He called artists who lived a century with him. They were the other rebels of a century.
New style starts from defiance toward tradition. Tradition is previous. An artist is always the Avant-garde. As human being started by refusing a taboo, an art always start from refusal for a taboo. They have common attitude such ‘such an apple!’ On the one hand, they doubt, and on the other hand, they become curious. When their doubt and curiosity explode at the peak, the traces become art works.
Minhwa Choi, the taboo been doubted by the artists he called is the form of representation. No matter how they try, the form of representation cannot break off the yoke such as a copy of something. So it is always subordinate to something. An idea, the God, morality, and so on. However in order to be a painting, never have to be satisfied to representation. So they turn away their eyes downward. And to resolve their curiosity from taboo, they drew smell or a cry, copied copies, threw and exploded a solid thing to canvas, and even peeled skin. By this, finally the common form was overthrown. It is not that hard to install a filter to the canvas now. Artists congest the canvas as much as they are contested by the world. If an artist is contested by pink, his or her drawing scene might be a pink. A copied original started the 20th century, and defiancesuch as transformation, disassembly, and scribbling left a trail here for a century. In the end, the pink painting. Minhwa Choi with the artists he called and with the attitude, he will make the world as the azalea world by pink.
The works of repeat each character with different styles. To recall is repetition of past. But it is different repetition. The repetition is relation between a different thing and the other different thing. Memories of the past are increased by repeating as time passed. Therefore, repeatable things by memories are not repetition such with identity or similarity. Yet, it is not opposing or compatible. So it is different repetition from one of representation. Repeatable images of Minhwa Choi are repetition of memories but not repetition of representation. Whoever it is an icon of the 20th century or anonymous people who an artist knows personally, it was repeated in Minhwa Choi’s pictures by defiant touch representing 20th century’s painting. One work is composed of 10 pieces of copied original. But each of was transformed with uniqueness of different style. This repetition does not damage the originality. So we can recognize that it is a repetition of an original. No matter Duchamp drew or Warhol prints, Marilyn Monroe still stands flapping her skirt. On the other hand, each people in the each work is transformed by a style of same artists. James Dean became the self-portrait with bandaged ear of Gogh and Hitchcock stands in the wheat field with crows. Jimmy Hendrix plays with meat loaf, Bruce Lee shouts in front of black curtain. Elizabeth Taylor with a mustache, anonymous woman, and pink people. These repetitions don’t damage the originality either. So we can recognize it is same style repetition. If the repetition, spectators see, is not conducted to superficial sphere, spectators can see a different repetition, in other words alive repetition.
Minhwa Choi is an artist who is well done to translate some unique things of various artists to canvases. So there is some secret trembling between them in his repetitions. Even if his expression looks like a joke, this trembling is so deep and internal. So feeling this is just a spectator’s part. The direct effect of the trembling starts from body. Minhwa Choi may be possessed with a spirit of the century’s artists through his body to recall the 20th century. Therefore, if we want to recall the 20th century, we should rather feel the trembling by body than recognize the repetition by head. To be someone, to travel to the past, those are very interesting. It may be possible when we eagerly wand to, even though we are not an actor or actress on a stage.


3. 기타
1) 관람료: 없음.
2) 관람시간: 오전 10:00 ~ 오후 7:00까지(전시기간중 무휴)입니다.
3) 위치안내
-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188번지 인사아트센터 (우)110-300
가. 지하철 : 1호선 종각역 3번출구, 3호선 안국역 6번출구, 5호선 종로3가역 5번출구
나. 버 스 : 종각역, 조계사 입구, 안국역 하차



최민화 Minhwa Choi 崔民花
1954 서울생
1978 홍익대학교 서양화과 졸업

주요 개인전
2009 최민화전_이십세기 회화의 추억,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7 최민화전_이십세기-I, 아르코미술관, 서울
2003 최민화전, 대안공간풀, 서울
1999 최민화전, 서남미술관, 서울
1995 최민화전, 공평아트센터, 서울
1991 최민화전, 토아트스페이스, 서울
1990 최민화전_6월-I, 한선갤러리, 서울
1989 최민화전, 한강미술관, 서울
1985 최민화전_들풀, 아랍미술관, 서울

주요 그룹전
2008 이미지의 반란, KT&G, 대구
한국미술의 리얼리즘 1945~2005, 니카타반다이지마미술관, 일본
트랜스팝; 한국 베트남 리믹스, 아르코미술관, 서울
2007 유연한 금기, 쿤스트할레, 빈, 오스트리아
아르꼬_한국의 지금, 알깔라31, 마드리드, 스페인
2006 제6회 광주비엔날레본전시_뿌리를 찾아서, 비엔날레전시관, 광주
사춘기 징후, 로뎅갤러리, 서울
2005 배틀 오브 비전스, 쿤스트할레, 다름슈타트, 독일
2003 공원 쉼표 사람들, 마로니에미술관, 서울
2001 상처, 광주민속미술관, 광주
2000 한국발, 서울옥션, 서울
1998 아름다운 이는 아직 태어나지 않았다, 아스날스페이스, 파리, 프랑스
1997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미술관, 서울
1996 한국 모더니즘의 전개 1970~1990; 근대의 초극, 금호미술관, 서울
1995 정의, 화평;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50주년 기념 국제 미술전, 장춘문화원, 장춘, 중국
1993 십년; 1983~1993, 나무화랑, 서울
태평양을 건너서_한국현대미술, 퀸즈미술관, 뉴욕, 미국
1992 젊은 아시아_한국, 태국, 중국, 인도네시아의 예술가, 마루끼미술관, 사이타마현, 일본/ 오사카미술관, 오사카, 일본
제3세계와 우리들, 동경도미술관, 도쿄, 일본
1991 동향과 전망, 서울미술관, 서울
1990 젊은 시각-내일에의 제안, 예술의 전당, 서울
1989 열린 세상을 향하여, 한강미술관, 서울
1987 반고문전, 그림마당민, 서울
1986~87 시위현장의 걸개그림 다수 제작
1984~86 정치만화, 극화 다수 제작
1983~85 시대정신, 제3갤러리, 서울

주요 소장 목록
아르코미술관, 서울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삼성미술관, 서울

Minhwa Choi
1954 Born in Seoul, Korea
1978 B.F.A. Painting,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Selected Solo Exhibitions
2009 Choi Minhwa: Remembrance of the 20th Century Paintings, Insa Art Center, Seoul, Korea
2007 Choi Minhwa: The 20th Century Series, Arco Art Center, Seoul, Korea
2003 Choi Minhwa, Alternative Space Pool, Seoul, Korea
1999 Choi Minhwa, Seonam Museum, Seoul, Korea
1995 Choi Minhwa, Gongpyeong Art Center, Seoul, Korea
1991 Choi Minhwa, Tho Art Space, Seoul, Korea
1990 June-I, Hansun Gallery, Seoul, Korea
1989 Hangang Museum, Seoul, Korea
1985 Wild Plant, Arab Museum, Seoul,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08 Uprising of the Images, KT&G, Daegu, Korea
Art toward the Society: Realism in Korea Art 1945~2005, The Niigata Bandaijima Art Museum, Japan
Trans Pop: Korea, Vietnam Remix, Arco Art Center, Seoul, Korea
2007 Elastic Taboos, Kunsthalle, Wien, Austria
ARCO: Korea Now, Alkara Muse, Madrid, Spain
2006 The 6th Gwangju Biennale: The First Chapter-Trace Root, Gwangju, Korea
Symptom of Adolescence, Rodin Gallery, Seoul, Korea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Germany
2003 Park_ing, KCAF, Seoul, Korea
2001 Scar, Gwangju Folk Museum, Gwangju, Korea
2000 From Korea, Seoul Auction, Seoul, Korea
1998 The Beautiful Ones Are Not Yet Born, Artnal Space, Paris, France
1997 Expression of the Unexpressible, Posco Gallery, Seoul, Korea
1996 Korean Modernisim 1970~1990, Kumho Museum, Seoul, Korea
1995 Justice-Peace: The 50th Anniversary Exhibition for the Victory in Anti-Fascist War, Changchun Art Center, Changchun, China
1993 Decade Show: 1983~1993, Namu Gallery, Seoul, Korea
Across the Pacific, Queens Museum, New York, U.S.
1992 Young Asia: Artists from Korea, Thailand, China and Indonesia, Maruki Gallery for the Hirosima Pannels, Saitama: Traveled to Osaka Art Museum, Osaka, Japan‘
The Third World and Us, Tokyo Metropolitan Museum, Tokyo, Japan
1991 Tendencies and Prospects, Seoul Museum, Seoul, Korea
1990 Young Perspective: Ideas for Tomorrow, Seoul Art Center, Seoul, Korea
1989 Towards on Open World, Hangang Gallery, Seoul, Korea
1987 Anti-Torture, Min Art Gallery, Seoul, Korea
1986~87 Co-produced numerous banner paintings for political demonstrations
1984~86 Produced numerous books of political cartooons
1983~85 Zeitgeist, The Third Gallery, Seoul, Korea
Selected Public Collections
KCAF, Arco Art Center, Seoul, Korea
SEMA,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Leeum, Seoul, Korea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