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현대 미술관 책임운영 기관화에 대한 우리의 입장 (퍼옴)
무지랭이
2004.07.26 13:47:37 (*.99.31.25)
4384
14 / 0
국립 현대 미술관 책임운영 기관화에 대한 우리의 입장
한국미술의 상징이자 우리 미술인의 자존심이라 할 국립현대미술관이 고립무원의 청계산 자락으로 옮겨간 지 어언 십수 년에 이르렀다. 이는 우리미술인과 미술에 대한 국가적 인식의 정도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미술인은 경제적 성장을 우선순위에 두고 이후 문화입국을 이루려는 국가시책을 믿고 척박한 미술현장을 오늘까지 지켜왔다.
그러나 지난 7월 11일, 행정자치부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책임운영기관화’정책구상을 통해 “자율성”과 “효율성”을 목표로 하는 정부의 경제논리를 미술현장에 도입하려 하고 있다.
이는 참여정부가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내세우는 “참여”와 “소통” 의 원리를 무시한 처사라 아니할 수없다.
정부는 기관장에게 인사와 예산권을 주고 평가를 통해 그 책임을 묻는 것으로 기관의 “자율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실상은 기관장의 인사권은 매우 제한적이며, 예산도 줄어 기관운영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이 제도가 도입된다면 국립현대미술관은 장차 존속이 어려워 질것이며 우리의 미술계 또한 상징적 지주를 잃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비문화적인 정책을 졸렬한 방법으로 도입하려는 행정자치부와 문화예술을 보호 육성할 책임이 있는 문화관광부는 이를 즉각 철회하고 국민과 미술계에 사죄를 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주장하며 이러한 우리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시 있을 일련의 의사표현의 원인은 전적으로 행정자치부와 문화관광부 등 정부 당국에 있음을 천명한다.
하나, 재정자립도가 극히 미약한 국립현대미술관을 무리한 수익사업기관으로 내몰아 국민의 문화 향수권을 제한하고 공공성을 저해하는 것을 반대한다.
하나, 기초미술 분야에 대한 관심소홀로 전체 미술계가 황폐화되고 이로 인한 상업적 가치지향은 문화편식을 낳게 되어 결과적으로 문화적 불균형으로 이어질 것이므로 이에 반대한다.
하나, 미술계의 척박한 현실을 감안하여 미술계를 비롯한 국립현대미술관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구하며 장식품으로서의 미술관이 아닌 진정한 국민의 미술관이 되도록 도심이전을 신속히 추진 할 것을 요구한다.
하나, 최소한 미술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함에 있어 미술계와의 대화와 의견수렴절차를 가져 줄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책임 운영기관 지정을 철회하고, 행정 편의적 발상이 아닌 진정으로 국민을 위한 문화예술정책 수립에 박차를 가하여, 국제사회속의 문화선진국으로 우뚝서고자하는 우리의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
2004 년 7 월 26 일
사)한국미술협회, 사)한국전업미술가협회, 사)한국화랑협회, 한국미술평론가 협회
'민미협 아카이빙 > 2000년~2009년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공립 예술기관 운영시스템의 총체적 고민이 필요하다! (0) | 2020.07.24 |
---|---|
[기고] 국립현대미술관을 둘러싼 3가지 괴담 (0) | 2020.07.24 |
공사 중단 중인 예술인회관에 젊은 예술가들 한국판 ‘스쾃’ 운동 벌여 (0) | 2020.07.24 |
대한민국미술대전 운영개선 공청회 (0) | 2020.07.24 |
리얼링15년 전시 -디지털미술관 프로그램이 방영 (0) | 2020.07.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