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미협 아카이빙1681

맑스 이후 맑스주의 미학의 모색 민예총 문예아카데미 2007. 6. 20 개강 여름 http://myacademy.org 02- 739~6854~6 맑스 이후 맑스주의 미학의 모색 담당교수 | 신혜경 서울대 강사 외 개강일시 + 6. 28~ 매주 목요일 저녁 7:00 _ 8강 _ 8만원 '현실 사회주의' 체제가 자취도 없이 사라져 버린 지금, 우리에게 맑스주의 미학이란 과연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것인가? 오늘날 맑스주의의 진정한 핵심을 지켜내고 새로운 혁신을 통해 그 현재성을 되찾고자 하는 맑스주의 미학의 모색은 여전히 그 생명력을 잃지 않은 채 지속되고 있다. 본 강의는 맑스 이후 맑스주의 미학의 새로운 전망과 모색을 독일, 프랑스, 영미권 맑스주의 미학의 대표적 논의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맑스주의 미학의 고뇌에 찬 자기반성과.. 2020. 11. 23.
부산역에 6·10 조형물 부산역에 6·10 조형물 [연합] 부산역 앞에 세워진 6·10 민주항쟁 20주년 기념 조형물이 5일 첫선을 보였다. ‘길 그리고 우리들’ 이라는 제목의 이 조형물은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와 민족미술인협회 부산지회가 세웠다. 부산/연합뉴스 2020. 11. 23.
2007춘천민족미술인협회전 2007춘천민족미술인협회전 일시: 2007. 6.8(금) 오후 6시 30분 장소: 춘천시 교동 갤러리 소나무 푸르름이 한층 더해가는 초여름에 춘천민족미술인협회 회원들이 지난 해에 이어 두번째 전시회를 갖게 되었습니다. 많은 어려움 속에서 재출발한 저희들 모임이 제 모습을 보이고 있는지 자문해 봅니다. 조용한 문화 도시 춘천에서 아름다운 자연을 누리고 살면서 우리가 예술이라는 틀 속에 얽매어 자연을 왜곡하고 해약을 끼치는 것은 아닌지... 이번 전시회를 계기로 민족적 정서가 살아 있는 민족 미술, 자연과 환경을 생각하는 삶의 미술, 시민과 함께하는 시민 미술을 가꾸어 나가고자 다짐한 초심을 되새겨 봅니다. 전시회를 찾아 주셔서 서로의 의견을 기탄 없이 나누며 보다 참다운 삶에 접근하는 예술을 함께 나눌 수.. 2020. 11. 23.
서울아트가이드 6월호 Seoul Art Guide 2007. 6 Vol 66 CONTENTS ㆍ오광수 미술칼럼(18) KIAF를 보고, 우리의 미술정책은? ㆍ정중헌의 문화칼럼(38) 김수현 불륜드라마의 반칙과 재미 ㆍ한국미술계의 과제(28) 미술계의 ‘직함해저드’_ 김복영(홍익대교수) ㆍ지금 한국미술의 현장(16) 거대한 환금성, 미술의 궁핍 _ 강수미(미학, 미술비평) ㆍSpecial(25) 세계 미술인을 부르는 카셀 도쿠멘타12와 조각프로젝트 뮌스터 07 _ 유우숙(뒤셀도르프 하인리히 하이네대학 미술사 박사과정) ㆍ유럽 예술이야기(36) 다음의이미지, 아네트메사제의 메신저들, 프락시텔레스 _ 여문주(미술사) ㆍ미국 예술이야기(27) L.I.C., NYC, 도로타쥐르작과 아벨아우어, 사물들의행복, 여름상설전 _ 황유진(뉴욕.. 2020. 11. 23.
민예총 문예아카데미 여름강좌 개강 민예총 문예아카데미 2007. 6. 20 개강 여름 http://myacademy.org 02- 739~6854~6 [일반강좌] 세르와 함께 철학, 문학, 과학을 소통시키기 소통의 인식론과 기생의 관계론 담당교수 | 양운덕 철학자 『피노키오의 철학』 저 개강일시 + 6. 25~ 매주 월요일 저녁 7:00 _ 8강 _ 8만원 서양음악 안의 ‘나’를 찾아서 - 윤이상의 작품세계 담당교수 | 홍은미 윤이상 평화재단 상임연구위원 『윤이상의 음악세계』 편역 개강일시 + 6. 25~ 매주 월요일 저녁 7:00 _ 8강 _ 8만원 사랑, 죽음 그리고 이미지: R. 바르트의 'Camera Lucida' 담당교수 | 김진영 철학아카데미 공동대표 개강일시 + 6. 26~ 매주 화요일 오전 10:30 _ 10강 _ 10만원.. 2020. 11. 23.
이시우 평화사진작가 석방과 국가보안법 폐지를 위한 촛불문화제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살아남은 국가보안법, 아직 서초동에 있다” 이시우 평화사진작가 석방과 국가보안법 폐지를 위한 촛불문화제 □ 일시 : 2007년 6월 1일(금) 오후 7시 □ 장소 : 서울 서초동 검찰청 앞 □ 주최 : 국가보안법폐지국민연대 □ 주관 : 문화연대(문의 : 02-773-7707) □ 기획 취지 국가보안법 위반을 이유로 구속된 이시우 평화사진작가의 단식이 40일을 넘어섰습니다. 평화와 민주주의 그리고 표현의 자유를 유린하는 국가보안법을 인정할 수 없기에 “국가보안법을 끌어안고 죽겠다”는 각오로 단식을 시작한 그의 목숨은 이제 정말 위태로운 지경에 놓였습니다. 사진작가이자 현직 언론인인 그의 작업은 다시 국가보안법에 좌초됐고, 평생 제작한 필름마저 훼손된 상황입니다. 그러나 예술은 애초 금.. 2020. 11. 23.
2007 충무갤러리 기획공모 2007 충무갤러리 기획공모 “황학동-만물시장萬物市場 ” (재)중구문화재단 충무아트홀에 자리한 충무갤러리에서는 새로운 미술문화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주제가 있는 기획공모전을 개최합니다. 기존의 공모전과는 차별화를 둔 이번 공모전은 중구의 다양한 풍물을 소재로 매년 주제를 달리해 전시됩니다. 서울 중심의 지역성과 공공성을 기반으로 그 문화와 생활을 담아내는 이 공모전의 첫 번째 주제는“황학동-만물시장”입니다. 황학동 중고품 시장은 서울이라는 대도시 안에 위치하여 많은 세월을 거쳐 독자적인 성격이 만들어진 재래시장으로 나름의 진화과정을 통해 그 전통이 유지,발전되고 있습니다. 황학동의 과거와 현재를 미술을 통해 새롭게 모색할 수 있는 젊고 참신한 미술인들의 많은 관심과 지원을 바랍니다. ■ 기획공모 취지 도.. 2020. 11. 23.
6월 항쟁 20주년 기념 최민화전 6월7일 ~ 6월24일 6월 항쟁 20주년 기념 최민화전 2007.6. 7 ~ 6. 24 초대일시: 6. 7 (목) 6:00pm 장소 ; 문화일보 갤러리 오시는길 : 전철 5호선 서대문역 5번출구 역사적 울혈증과 회화적 기억 이 재현(문화평론가) - 최민화의 전시에 덧붙여 벤야민은 에서 이렇게 말했다. “현재가 과거의 이미지를 자기 나름의 관심거리로 인지하지 않는다면 모두 사라져버려서 회복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 과거를 역사적으로 표현한다는 것은 [...] 어떤 위험의 순간에 섬광처럼 번쩍이는 기억을 붙잡는 것을 뜻한다.” 그렇다면 최민화의 이번 그림들은 6월 항쟁에 관해서 어떤 기억을 붙잡으려고 하고 있는 것인가. 나와 내가 아는 사람들 대부분은 역사적, 정치적 울혈증을 안고 살아간다. 가까운 역사의 기억들은 늘 .. 2020. 11. 23.
87년생을 찾습니다!-거리의 기억전 6월민주항쟁20년주년 “거리의 기억 展” - 1.여섯 동네 이야기 2.“6천100원의 선물” 3.“그림패 아카이브 부산 민주공원기획전시실 07년6월6일-6월26일 주최: 민족미술인협회 부산지회 / 민주공원 주관: 거리의 기억전 전시추진위원회 611-023 부산시 광역시 연제구 연산4동 1115-13(12/2) http://cafe.daum.net/busanartmin “6천100원의 선물“ 출품작 ⓒ고동수 87년생들이 6.10항쟁 열사들에게 보내는 “6천100원의 선물” 출품자를 모집합니다! 참여대상: 전국의 87년생 선착순 100명에 한정합니다. 참여방법 :아래의 담당자에게 문의 전화나 메일로 *진성숙 010-9929-7055 / jk53105310@hanmail.net 마감 6월 2일까지(6월4일까지.. 2020. 11. 23.
통일을 염원하는 2007 생명평화천지굿 2007 생명평화천지굿 아홉 번째 민족통일대동장승한마당(대관령) ▶ 때 : 2007년 6. 2(土, 음 4.16) - 3(日, 음4.17) ▶ 곳 :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이효석문학 메밀꽃 축전마당 ▶ 주최 : 민족통일대동장승한마당 추진위원회, (사)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강원지회, (사)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민족굿위원회 ▶주관 : (사)민족미학연구소 ▶후원 : 문화관광부, 강원도. 평창군, 평창군문화원, 2014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 행사개요 및 조직 ○ 조직 : 대회장 :김용태(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이사장) 천규석(농민) 고문 : 김수업(국문학자), 김열규(민속학자), 김윤수(국립현대박물관 관장), 김지하(시인), 문정현(신부), 송기인(신부), 신경림(시인), 박경리(작가), 백기완(통일운동가), 백.. 2020. 11. 23.
김원주 찻그릇전 2007. 5. 23(수) - 5. 29(화) 한국공예문화진흥원(02-733-9040) 예전에 이글루스에 올렸던 글 모음이 사라져 기억이 정확한지 알 수 없지만 여주 즘골마을에서 술 한잔 할 때 그는 이렇게 말했었다. 더 산 속으로 들어가고 싶어. 들어가야지. 거기서 그릇만 만들다 몸이 쇠하여 더 이상 움직일 수 없게 되면 살던 집에 불을 지르고 그 안에서 장작들처럼 타버려야지. 그런데 말이야. 혼자 들어가면 좋은데 이 마누라가 끝까지 같이 하겠다네. 하 하. 주로 도자 벽화 일 때문에 만났었는데 한동안 뜸했었다. 그는 지금도 저런 생각을 하고 있을까? 그가, 원주형이 첫 번째 개인전을 연다. 전시 소식을 듣고 그가 예전에 애정을 갖고 만들고자 했던 막사발들을 보겠군, 생각했는데 엽서를 받고 보니 찻그릇展 이다. 김원주 찻그릇전 때 : 2007. 5. 23(수) - 5. 29(화) 곳 : .. 2020. 11. 23.
장순복 회화展 갤러리 눈 0523 ▶ 2007_0529 들녘에서 만나다 장순복 회화展 2007_0523 ▶ 2007_0529 초대일시_2007_0523_수요일_06:00pm 갤러리 눈 서울 종로구 인사동 147번지 미림미술재료백화점 2층 Tel. 02_747_7277 www.110011.co.kr 장순복의 들녘 - 그의 첫 개인전에 부쳐 ● 장순복이 마흔이 넘어 첫 개인전을 열었다. 십 수년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에 살면서 그린 그림들이다. 녹록치 않은 생활 속에서 그림을 그린다는 게 얼마나 힘겨운 일인가. 차분하고 말 수 없는 그는 용케도 붓을 놓지 않고 오롯이 견디어내어 마침내 그간의 작업들을 풀어내었다. 장순복_봄날은 간다_캔버스에 유채_91×117cm_2002 장순복_봄볕 닿는 곳마다_캔버스에 유채_28×33cm_2003 ‘들녘에서 만나다’ 장순복의 .. 2020. 11. 23.
이 기회에 없애버리는 것도 [중앙일보 2007-05-17 04:45] [중앙일보 조현욱.권근영] "미전 입선에는 300만~500만원, 특선엔 1500만~2000만원을 써야 한다. 병역특례가 주어지는 대통령상을 타려면 상금 3000만원을 반납하고 웃돈 3000만원을 더 얹어줘야 한다. " 대한민국미술대전을 놓고 미술계에서 공공연히 나도는 얘기다. 미전 심사비리 수사결과에 대해 "곪을 대로 곪은 게 터졌다"는 반응도 나왔다. 그만큼 고질적이고 공공연한 비리였다는 얘기다. 2001년에도 미전 입상, 이사장 선거와 관련해 금품이 오간 정황이 경찰에 적발되기도 했다. 이번에 수사가 집중된 문인화 부문에서도 수상자 대다수가 협회 고위간부나 심사위원들의 제자.후배들로 학연.지연에 사례비까지 동원됐다. 수상작의 희소가치도 떨어진다. 지난해 제2.. 2020. 11. 23.
통일미술에 관심있는 분들 사무처로 연락을 바랍니다. 통일미술에 관심을 갖고 장기적으로 꾸준히 작업에 임할 작가 선생님들을 모시고자 합니다. 그동안 민미협에서는 통일미술에 관하여 본부 민미협과 각 지회 지부에서 다양한 미술행사를 진행하여온 역사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크고 작은 여러 성과물들은 민미협의 성과이자 자랑이었습니다. 그러나 그간 진행하여온 미술전시가 단기적인 전시위주의 사업으로 전후의 사업들이 연계성을 갖지 못하고 있었던 점들은 아쉬움으로 남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에 통일미술에 관심을 갖고 있는 작가 선생님들의 모임을 만들고 정기적인 토론과 정보의 공유를, 그리고 창작에 대한 연구를 함께하고자 합니다. 통일미술 참여 희망 작가 선생님들은 연락처를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2020. 11. 23.
6월민주항쟁 행사에 함께하실 분들의 참여신청을 받습니다. 6월민주항쟁 행사에 함께하실 분들의 참여신청을 받습니다. 회원님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6월9일 (30명) / 6월10일 (100명) ** 참여신청은 5월 25일까지 해주시길 바랍니다. 문의나 신청은이메일(minart@empal.com)이나 tel:02)738-0764로 해주시길 바랍니다. *** 1. 민주주의 시민축제 서울행사에 참여하실분 *모집인원 : 30명 *일정: 서울시청에서 아침 8시 30분경 버스로 임진강으로 이동후 대한민국 하나로 잇기 행사 / 버스로 다시 서울시청 광장으로 집합 서울시청 행사 관람 일시: 2007.6.9(토) 10:00~22:00 장소 서울시청 광장과 그 부근 프로그램: 610명의 해방북춤/이애주의 상생 춤/콘서트'함꼐 불러요 아침이슬/어린이난장(놀이마을/마임.미술공연.. 2020. 11. 23.